2023-03-23 22:59 (목)
청교도(회중교회파) 신학의 회심준비론이란 무엇인가?(1)
상태바
청교도(회중교회파) 신학의 회심준비론이란 무엇인가?(1)
  • 진용씩
  • 승인 2021.05.22 14:04
  • 댓글 3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진용식 목사 청교도 회심준비론 PPT 강의안 1
진용식 목사의 발표 후 서철원 박사가 논평하는 모습
진용식 목사의 발표 후 서철원 박사가 논평하는 모습

 

1. 회심 준비론은 청교도들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다.

1) 청교도의 아버지 윌리엄 퍼킨스(William Perkins1558-1602)가 시작한 것이다.

“많은 영국인들을 청교도주의로 인도한 윌리엄 퍼킨스는 한 개인이 믿음을 얻게 되기까지의 단계를 열 가지로 분류했다.”
(양낙홍, 에드워즈 생애와 사상, 93)

 

2) 토마스 셰퍼드(Thomas Shepard, 1605년 - 1649년)

“청교도들의 이러한 회심론의 결정판을 남긴 사람은 토머스 셰퍼드였다.”

“에드워즈의 회심론은 한 마디로, 추구론 내지 준비론인데 그것은 셰퍼드의 회심론을 상당부분 그대로 받아들인 것이라고 할 수 있다.”(위의 책, 43, 46)
 

3) 청교도의 황태자 존 오웬(John Owen,1616-1683)이 계승하였다.

“존 오웬은 회중교회의 정치제도를 원했고, 영국의회에서 결의된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을 변형시킨 사보이 신앙고백을 제정하였다.”(위키백과)
 

4) 조나단 에드워즈(Jonathan Edwards, 1703-1758)가 대 각성 부흥운동으로 회심 준비론을 실현하였다.

“조나단 에드워즈목사는 위대한 학자이자 변증자이며 회중교회 목사였다. 신앙체험의 심리적인 면을 재 규명하고, 부흥 운동에 참여한 사람들이 성령의 참된 사역과 거짓 사역을 구분할 수 있도록 도왔다.”(위키백과)

“청교도주의는 에드워즈로 존재 한다”, “에드워즈의 가르침에서 우리는 청교도의 최절정에 이르게 된다.”(조엘 비키, 은혜로 말미암은 준비, 305)

“조나단 에드워즈는 회심을 위한 강렬한 준비 교리를 가르쳤다. 그는 준비 교리에 대한 청교도 전통을 받아들였고 반대 의견에 맞서 그것을 옹호하였다.”(위의 책, 327)
 

5) 회심 준비론은 청교도의 핵심 교리이다.

“청교도 준비 교리는 명목상 그리스도인이 성행했던 시대에 대한 반응으로서, 구원의 넓은 문을 통해 교회 안에 들어온 위선자들을 깨우기 위한 청교도들의 핵심 사상 중 하나였다.”(조엘 비키, 은혜로 말미암은 준비, 21)

“청교도 정신 중 현격하게 돋보이는 것은 ‘구원을 준비시키는’ 예비적 은혜교리입니다.”(위의 책, 9)


[청교도 신학자들]

윌리엄 퍼킨스(William Perkins, 1558-1602) 청교도의 아버지
윌리엄 에임스(william Ames, 1576-1633)
폴 베인즈(Paul Baynes, 1573-1617)
리처드 십스(Richard sibbes, 1577-1635)
존 코튼(John Cotton, 1585-1652)
존 프레스톤(John Preston, 1587-1628)
토마스 셰퍼드(Thomas Shepard, 1605년-1649년) 회심 준비론 작성

존 오웬(John Owen, 1616-1683), 청교도의 황태자
리챠드 백스터(Richard baxter, 1615-1691)
토마스 굿윈(Thomas Goodwin, 1600-1680)
존 하우(John Howe,1630-1705)
스티븐 차녹(Stephen Charnok, 1628-1680)
존 번연(John Bunyan, 1628-1699) 천로역정 저자
토마스 왓슨(Thomas Watson, 1620-1686)
토마스 브룩스(Thomas Brooks, 1608-1680)
메튜 폴(Matthew Poole, 1624-1679)

토마스 맨톤(Thomas Manton, 1620-1677)
조나단 에드워즈(Jonathan Edwards, 1703-1758) 대 각성운동(회심 준비론 실현)

 

2. 구원은 회심의 체험으로 이루어진다.

1) 복음을 믿는 것으로 구원 받는 것이 아니다.

“복음을 단지 지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나 그것을 수락하기로 하는 결단이 구원에 이르는 믿음이라 생각하지 않았다. 의지의 결단으로 복음을 수락하는 것이 구원에 이르는 믿음이란 개념은 사실상 에드워즈가 평생을 두고 반박했다.”(양낙홍, 에드워즈 생애와 사상, 93)
 

2) 구원은 체험으로 이루어진다.

“청교도 구원론의 핵심은 한마디로 ‘체험’이다. 복음의 진리를 단지 머리로만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마음으로 체험해야 한다는 것이 청교도 신학의 진수다.”(위의 책, 93)
 

3) 회심의 체험(구원)은 하나님께서 은혜로 주시는 것이다.

“사죄의 확신에 대해 청교도들은 현대 교회들과 다른 견해를 가지고 있었다. 체험적 차원을 강조한 청교도들은 죄를 깨닫고 두려움과 슬픔에 사로잡힌 죄인들은 ‘하나님의 직접적 위로’에 의해 비로소 사죄의 확신을 가질 수 있다.”(위의 책, 93)
 

3. 회심의 체험은 준비된 자에게 임한다.

1) 회심의 체험을 위해서 노력이 필요하다.

“회심하기 어려운 때는 회심에 대한 더 많은 관심과 더 큰 노력과 부지런함이 필요합니다.” (에드워즈, 대표설교선집, 185)

“죄인들이 마음과 삶의 회개와 개혁 없이도 천국에 들어갈 수 있다는 어리석은 희망을 품어서는 안 된다고 경고한다. 회심은 노력을 요구한다.”(위의 책, 47)

“구원을 얻게 위해 해야만 하는 어떤 것들은 노력해야 한다는 점에서 아주 어렵게 보입니다.” (위의 책, 179)

“에드워즈의 준비 교리에 대한 또 다른 적용은 진지하게 ‘신앙의 길에서 힘쓰라’는 것이다(눅13:24) 이것을 통해 에드워즈는 죄를 자각한 사람은 기도하는 일과 죄와 싸우는 것과 신앙적인 의무를 다하는 일에 힘쓰며 집중적으로 노력해야 함을 말하고자 했다.”(조엘 비키, 은혜로 말미암은 준비, 305)
 

2) 회심의 체험을 위해서 준비가 필요하다.

“청교도들은 생각했다. 그것은 하나님이 베푸실지도 모르는 은혜를 기다리는 것이었다. 하나님의 은혜가 체험(회심)될 때까지 하나님의 자비를 간구하면서 기다리는 것이다. 소위 준비론(preparationsim)이다. 여기서 ‘체험’에 대한 청교도적 강조가 대두 될 수밖에 없었다. 체험되지 않는다면 자신에게 은혜가 주어졌다는 것을 믿을 아무런 근거가 없었다.”(양낙홍, 에드워즈의 생애와 사상, 94)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3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오승현 2021-05-24 23:19:47
회심을 하기 위해 하나님의 은혜를 기다린다?
회심 체험을 위하여 준비하고 노력해야 한다?
회심은 성령의 역사와 하나님의 은혜가 아니면, 불가능하다. 사람이 회심을 위하여 준비하고 노력해야
한다는 것은 비성경적이다.
사람의 죄성으로는 회심을 준비할 수도 없고
회심할 수도 없다!
오직, 은혜를 받은 자만이 회심하고, 자기 자신의
죄를 자각하고, 자기 자신의 죄를 자백하며,
주님의 은혜만을 바라본다!!!
회심준비론이 아니라,
회심은혜론이다!!!

오승현 2021-05-24 19:52:06
구원은, 사람의 능력이 아니라, 주님께, 불쌍히 여김을
받는 사람만이 소유할 수 있는 것이라 봅니다.
오른편 강도와 같은, 오직!♦예수님♦만 의지하는
그 믿음만으로요!!!

우동사리 2021-05-23 10:34:20
조나단 에드워즈 및 회중파 청교도는 고상한 마귀의 가르침 그 이상 이하도 아닙니다.

회중파 청교도적인 구원을 은연중에 영향을 받거나 받아들이면 우울증과 강박적 자기비하에 빠지고, 영혼이 파리해집니다. 율법주의에 빠진자들의 특징이기도 합니다.

구원의 확신이 복음에 근거하지 못하고 마귀의 가르침과 그로인한 체험에 근거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마귀의 가르침을 전하는 자들이 정통이라는 울타리안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청교도 개혁주라는 용어를 통해서 무식한 자들을 교란하고, 청교도 책을 한국교회에 널리 퍼트리는게 사명이라며 출판사역으로 진리에 대하여 사기를 치고 있습니다.

회중파 청교도들의 가르침 그 어떠한것도 더 이상 교회를 더럽히고 영혼들을 병들게 방관해서는 안될것입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