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칭의론

앞에서 웨슬리와 존 길의 추종자인 허베이의 논쟁에서와 같이 허베이는 칭의 만으로 구원을 얻는다고 강조하였다. 이러한 주장들은 존 길의 칭의에 대한 관점으로부터 온 것이다. 존 길은 칭의를 다음과 같이 정의 하였다.

“칭의는 하나님의 거저주시는 은혜의 행위이다. 이로써 자신의 백성을 죄에서 깨끗이 하며, 정죄로부터 그들을 해방시키시고, 그리스도의 의를 근거로 해서 그들을 의로운 자로 여기는 것이다. 그리스도는 그들을 받아주시며, 의를 전가하신다.”1)

존 길의 칭의에 대한 정의는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 질문 70번과 상당히 유사하다. 그러나 여기서 존 길은 믿음에 대한 언급이 없다. 물론 그가 믿음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믿음에 대해서 덜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존 길에 있어서 믿음은 칭의의 정수가 아니라 단지 칭의의 산물이다.2) 이렇게 말하는 존 길에 있어서 칭의는 단지 선택에 있어 하나의 가지 (a branch)로 간주하기 때문이다.3) 즉 하나님께서 선택하셨으면 이것은 하나님의 영원한 뜻이기 때문에 결국 그들을 의롭게 하신다고 존 길은 생각하였던 것이다.

결국 존 길은 영원 칭의 (eternal justification)를 지지하게 된다. 즉 하나님의 뜻은 선택하신 자를 의롭게 하시는 것이라고 주장한다.4) 존 길은 선택은 반드시 의롭게 한다고 생각하였다. 존 길은 영원 칭의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선택의 은혜는 사람들로 그리스도 안으로 들어가게 한다. 이 세상의 기초가 놓아지기 전에 그리스도 안에 있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만약 그들이 그리스도 안에 있는 것으로 간주되었다면 그들은 반드시 의로운 자로 간주된다... 그들은 반드시 의로운 자로 간주되며 그래서 의롭게 된다.”5)

따라서 존 길은 그리스도께서 선택된 자들이 존재하기 전에 벌써 그들을 위해 죽으셨다면, 하나님께서는 그들이 존재하기 전에 그들을 의롭게 하셨다라고 생각하였다.6)

그렇다면 존 길의 칭의 교리에 있어서 믿음은 어디에 있는가? 존 길은 알미니안주의에 대해서 극단의 대응을 하였다. 그래서 그는 믿음이 하나님의 언약에 들어가는 것 혹은 칭의에 대한 조건이 될 수 없는 것을 강조하였는데, 만약 믿음이 조건이 된다면 그것은 행위라고 생각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알미니안주의에 대해서 극단으로 반대하면서, 믿음을 칭의의 은덕이라고 생각하였다. 존 길은 믿음을 설명하면서 연속하여 성도의 견인 교리를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하나님께서는 선택된 자에게 특별한 믿음을 공급해주신다. 그러나 선택된 자들이 때때로 죄를 짓거나 하나님을 믿지 않을 때, 이 특별한 믿음을 거두어 가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별한 은혜와 믿음을 거두어 가시는 것은 일시적이다. 그래서 성도는 죄와 불신앙의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살 수 없다고 하였다.”7)
 

4. 도덕률폐기론

웨슬리 당시 (1730년대), 도덕률폐기론주의 논쟁은 존 길이 토비아스 크리습 (Tobias Crisp, 1600-1643)의 작품을8) 변호하면서 일어났다.9) 존 길은 크리습이 도덕률폐기론주의자가 아니며, 그는 경건한 자라고 변호하였다. 그러나 이 논쟁으로부터 존 길은 도덕률폐기론주의자로 분류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더욱이 존 길은 이미 후시와 같이 자유로운 복음의 제시 (free offer)를 반대하였다.10)

이때 테일러는 존 길이 도덕률폐기론을 다시 부활시키고 있다고 비난하였으며, 그의 칭의 교리는 도덕률폐기론에 해당된다고 하였다. 이에 대해서 1732년 존 길은 영원한 연합(eternal union) 교리를 변호하였고, 죄는 신자에게 어떤 해도 미치지 않는다고 하였다. 특히 로마서 8:28절을 근거로 해서 하나님께서는 신자에게 있는 죄도 압도하셔서 결국 모든 것을 선하게 하신다고 하였다. 따라서 죄는 선택되었으며, 의롭게 된 자를 최종적으로 정죄할 수 없다고 하였다.11)

그리고 때때로 존 길은 하나님은 신자에게 있는 죄를 보시지 않는다고 말하기도 하였다. 존 길의 영원 칭의 교리와 크리슾??변호하면서 하였던 말들은 죄에 대해 방임에 대한 것으로 여겨질 수 있으며, 그를 도덕률폐기론주의로 보기에 충분하다. 물론 존 길 자신은 도덕률폐기론주의자가 아니라고 항변하였다. 존 길과 테일러와의 도덕률폐기론 논쟁은 1730년 후반에 까지 계속되어 졌고, 그가 죽을 때(1771)까지 진행되었다. 이러한 논쟁 가운데, 존 웨슬리가 들어오게 되었으며 그는 도덕률폐기론주의를 공격하였으며12), 이것에 대응하여 완전성화 교리를 주장하게 되었다. 그리고 칼빈주의자라고 하면서 이렇게 도덕률폐기론주의를 지향하고있는 자들에게 대해서 공격을 하였고, 때로는 도덕률폐기론주의와 칼빈주의를 동일시하기도 하였다.
 

5. 복음 전도

존 길은 누구에게나 복음을 제시하는 free offer에 대해서 반대하였다.13) 그것은 알미니안주의자들이 하는 것으로 생각하였다. 존 길은 복음을 제시하는 것은 알미니안주의자들의 보편 속죄를 믿는 것이라고 간주하였다. 존 길은 제한 속죄를 과도하게 적용하여서 복음 제시를 반대하였던 것이다. 더욱이 존 길의 이러한 복음을 제시하는 것을 반대한 이유는 그의 복음에 대한 이해로부터 나왔다. 그가 이해한 복음은 아버지와 아들 그리고 성령이 하신 일과 지금 하시는 일에 대한 선언으로 보았다.14)

복음 그 자체를 하나님의 뜻과 언약으로 본 것이다. 복음은 영원한 언약을 베낀 것으로 이해하였다. 따라서 존 길에게는 무조건적 선택 교리 그 자체가 복음이 되는 것이다. 여기서 존 길은 TULIP 교리 자체를 복음의 정수로 이해한 한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하나님의 비밀스러운 뜻을 누구에게 전할 것인가? 라는 질문에 봉착하게 되었다. 왜냐하면 하나님의 비밀스러운 뜻은 선택된 자에게 드러날 것이며, 이것은 모두에게 드러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15)

존 길에게는 하나님께서 모든 사람을 사랑하신다는 말과 혹은 하나님께서 당신을 사랑하신다는 말은 용납될 수 없었으며, 하나님께서는 어떤 특정한 자를 사랑하신다가 그에게 받아들일 수 있는 말이었다. 더욱이 존 길은 복음 안에는 명령이 없다고 생각하였기 때문에, 누구도 사람들에게 믿으라고 명령할 수 없다고 말하였다.16) 그래서 존 길은 심지어 복음 전도를 지지하는 칼빈주의자들을 알미니안주의자들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이러한 복음 전도에 대한 존 길의 태도는 웨슬리로 하여금 칼빈주의에 대해서 혐오하도록 만들기에 충분하였다.
 

--- 각주 ---

1) John Gill, Body of Divinity (Philadelphia: Graves, 1814), 27, 28. (이후 Body of Divinity로 인용함).
2) Curt Daniel, “Hyper Calvinism and John Gill”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Edinburgh,
1983), 293.
3) Gill, Body of Divinity, 205.
4) Gill, Body of Divinity, 203.
5) Gill, Body of Divinity, 205.
6) Gill, Body of Divinity, 207.
7) Gill, Cause of God and Truth (London: Aaron Ward, 1855), 134.
8) 책 제목은 Christ Alone Exalted로서 1643년에 출판된 작품이다.
9) 존 길 이외에도 조셉 후세이(Joseph Hussey), 존 스켑 (John Skepp)이 논쟁에 연루되어 있었다.
10) Curt Daniel, “John Gill and Calvinistic Antinomianism,” in The Life and Thought of John
Gill, Michael Haykin(Leiden: Brill, 1997), 180.
11) John Gill, A Collection of Sermon and Tracts, vol. 3 (1814), 8-10.
12) 모라비안주의자들 가운데 도덕률폐기론주의자들이 있었다. 웨슬리는 이들을 향해서도 공격하
였다(Earl Crow, John Wesley's Conflict with Antinomianism in Relation to the Moravians and Calvinists 참조).
13) 이 부분에서 휫필드와 구별되는데, 휫필드는 선택의 교리를 중요하게 여겼지만, 복음을 전하는
것은 반드시 해야 할 의무로 생각하였다(Whitefield's Letters, 189 참조).
14) Daniel, “Hyper Calvinism and John Gill,” 384.
15) Daniel, “Hyper Calvinism and John Gill,” 387.
16) Daniel, “Hyper Calvinism and John Gill,” 390.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바른믿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