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7건) 리스트형 웹진형 타일형 웨슬리의 도덕폐기론 하이퍼 칼빈주의 비판은 정당했다 웨슬리의 도덕폐기론 하이퍼 칼빈주의 비판은 정당했다 5. 칼빈주의에서의 성화 교리하이퍼 칼빈주의가 도덕률폐기론의 성격을 가지는 것은 신자의 죄에 대한 태도가 매우 소극적이기 때문이다. 영원 칭의의 강조에 의해서 상대적으로 성화가 있을 곳이 없도록 만들었다. 그러나 칼빈은 칭의 교리를 설명하면서부터 믿음이 행함과 분리될 수 없음을 말하였다. 그리스도께서 그 자신 안에 칭의와 성화를 담고 있다고 하였다. 물론 그 둘은 구별된다고 하였다.87 칼빈에게 있어서 칭의와 성화의 관계는 구원 교리의 전체의 원리이며, 모든 신앙의 근본이었다. 그리고 칼빈은 신자는 삶의 거룩함 속에서 하나님을 경배하기 위해 칭의 되었다고 하였다.88 즉 칭의의 목적은 성화인 것이다. 따라서 진정으로 칭의가 있다면 성화는 반드시 있어야 하는 것이다.칼빈은 교회론에서 성령 김홍만 | 김홍만 | 2017-12-05 21:00 웨슬리의 지적처럼 하이퍼 칼빈주의에는 성화의 자리가 없다 웨슬리의 지적처럼 하이퍼 칼빈주의에는 성화의 자리가 없다 3. 칼빈주의에서의 예정 교리 하이퍼 칼빈주의에서의 예정론에 대한 태도는 마치 인간이 하나님의 예정에 대해서 아는 것과 같은 태도를 취한다. 그 논리상, 예정에서부터 출발해서 그 다음에 선택, 칭의, 성도의 견인 순서로 풀어가기 때문이다.그러나 이것은 칼빈주의가 아니다. 칼빈은 말하기를 “예정 교리는 우리가 소화하기에 어려운 것이며, 만약에 우리 자신의 판단으로 이해하려고 한다면 이 교리를 받아들일 수 없을 것이며, 이 교리는 우리로 겸손하게 하며, 경외하게 하는데, 이것은 우리에게 감추어져 있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다.80즉 예정은 하나님의 비밀들이며, 우리의 두뇌로 이 땅에서나 하늘에서 이해되어 지는 것이 아니라고 하였다. 그러면서 칼빈은 인간의 어리석은 환상적인 방식 김홍만 | 김홍만 | 2017-10-07 08:05 웨슬리 시대에는 극단적 칼빈주의가 칼빈주의로 이해되었다 웨슬리 시대에는 극단적 칼빈주의가 칼빈주의로 이해되었다 1. 하이퍼 칼빈주의67웨슬리 생애의 전 시대에 존 길과 같은 극단의 칼빈주의자들이 지속되었다.68 그러나 그 시대에는 존 길과 같은 주장을 칼빈주의로 이해하였다. 웨슬리 역시 존 길과 같은 주장을 칼빈주의로 이해하였으며, 이러한 주장에서 온건한 자들을 온건한 칼빈주의 (sober Calvinism)이라고 불렀던 것이다.그러나 존 길과 그와 같은 주장들이 칼빈주의가 아니라는 것은 앤드류 풀러 (Andrew Fuller)에 의해서 밝혀진다. 초기에 앤드류 풀러는 존 길과 같이 침례교도로서 존 길의 작품에 상당히 심취해 있었다. 그리고 그는 침례교 청교도인 존 번연의 글을 존 길의 글과 비교하였다. 풀러는 번연이 선택과 예정 교리를 가르치면서 복음전도를 강조한 것이 존 길과 다르다는 것을 발견하고 김홍만 | 김홍만 | 2017-08-28 21:20 존 길은 웨슬리가 칼빈주의를 더욱 혐오하게 만들었다 존 길은 웨슬리가 칼빈주의를 더욱 혐오하게 만들었다 3. 칭의론앞에서 웨슬리와 존 길의 추종자인 허베이의 논쟁에서와 같이 허베이는 칭의 만으로 구원을 얻는다고 강조하였다. 이러한 주장들은 존 길의 칭의에 대한 관점으로부터 온 것이다. 존 길은 칭의를 다음과 같이 정의 하였다.“칭의는 하나님의 거저주시는 은혜의 행위이다. 이로써 자신의 백성을 죄에서 깨끗이 하며, 정죄로부터 그들을 해방시키시고, 그리스도의 의를 근거로 해서 그들을 의로운 자로 여기는 것이다. 그리스도는 그들을 받아주시며, 의를 전가하신다.”1)존 길의 칭의에 대한 정의는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 질문 70번과 상당히 유사하다. 그러나 여기서 존 길은 믿음에 대한 언급이 없다. 물론 그가 믿음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믿음에 대해서 덜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존 길에 있어서 김홍만 | 김홍만 | 2017-07-31 21:22 웨슬리는 존길(John Gill)의 극단적 칼빈주의와 논쟁했다 웨슬리는 존길(John Gill)의 극단적 칼빈주의와 논쟁했다 웨슬리가 이렇게 칼빈주의에 대해서 공격적인 이유는 그 당시 과도한 칼빈주의의 성향으로 인한 것이다. 그 당시의 웨슬리와 논쟁적 위치에 있었던 과도한 칼빈주의자는 존 길과 그를 추종하는 자들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웨슬리가 그토록 칼빈주의를 혐오하게 하였던 이들의 주장들은 다음과 같다.1. 선택, 유기, 견인 교리웨슬리가 그토록 칼빈주의에 대해서 공격하였던 것은 선택의 교리에서부터 출발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일찍이 선택의 교리에 대해서 웨슬리는 휫필드와의 논쟁이 있었다. 그러나 과격한 논쟁을 불러일으킨 것은 존길이라 할 수 있다. 존 길은 선택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삶에 대한 예정인 선택은 하나님의 거저 주시는 은혜의 행위이며, 하나님의 주권에 속한 것이고, 불변의 뜻이다 김홍만 | 김홍만 | 2017-06-28 22:03 웨슬리에게 큰 영향 미친 극단적 칼빈주의(Hyper-Calvinism) 웨슬리에게 큰 영향 미친 극단적 칼빈주의(Hyper-Calvinism) 3. 성화웨슬리는 칼빈주의자들이나 혹은 루터주의자들 모두 믿음의 실천에 있어서 특히 성결과 선행이 미약함을 비판하였다. 웨슬리는 루터주의자와 칼빈주의자들이 너무 믿음을 확대하는 것으로 보았다. 그래서 웨슬리는 우리를 위해 주어진 그리스도를 설교할 때, 그 남용이 심각하며, 따라서 우리 안에서 살아계신 그리스도에 대해서 더욱 강조해야 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질문들을 지속적으로 해야 한다고 하였다:그리고 당신 안에 그리스도가 있는가? 당신은 새로운 심령을 가지고 있는가? 당신에게서 몸 전체의 죄가 파괴되었는가? 당신은 의심과 두려움 없이 하나님의 자녀인 것을 확신하는가? 더욱이 웨슬리는 전가된 칭의에 대해서 제임스 허베이 (James Hervey)와 논쟁하는데 (제임스는 존 길을 추종 김홍만 | 김홍만 | 2017-06-10 22:22 웨슬리는 예정론이 신자의 성결한 삶을 방해한다고 보았다 웨슬리는 예정론이 신자의 성결한 삶을 방해한다고 보았다 1. 선택(유기), 저항할 수 없는 은혜, 성도의 최종적 견인웨슬리는 칼빈주의자(calvinist)를 만나서 그와 상담한 사례들을 싣고 있다. 아주 가깝게 지내던 칼빈주의자가 웨슬리를 찾아왔다. 그는 선택과 유기에 대한 교리를 웨슬리에게 가지고 왔는데, 그 사람뿐만 아니라 대부분 같은 견해를 가진 많은 칼빈주의자들이 실망하고 있었다고 말한다.그래서 웨슬리는 그들이 하나님의 사랑을 느낄 수 있도록 노력하였는데, 그들은 ‘아닙니다. 하나님께서 우리를 사랑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우리가 선택되지 못한 것 같습니다. 영원 전부터 하나님께서 우리를 미워하십니다’라고 그들이 대답하였다고 말한다. 이렇게 웨슬리는 선택과 유기 교리가 사람들로 실망을 주는 가르침일 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을 구원하시고자 하는 김홍만 | 김홍만 | 2017-05-31 11:15 처음처음1끝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