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5건) 리스트형 웹진형 타일형 서창원 교수의 구원에 대한 신앙은 신약의 사도들의 신앙에서 벗어난 거짓 신앙 서창원 교수의 구원에 대한 신앙은 신약의 사도들의 신앙에서 벗어난 거짓 신앙 (이 글은 제보된 내용이 누구의 글인지 알지 못하고 쓴 "회심섭리론, 회심준비론 모두 사탄이 자기 종들에게 가르친 다른 복음"(22.11.28일)을 대폭 수정하여 다시 올리는 글이다. 문제의 글이 서창원 교수가 자신의 페이스 북에 써서 전파한 글임이 확인되었기 때문이다.) "회심준비론에 대한 반박이 크다. 나는 용어 자체를 ‘회심섭리론’으로 바꿔야 한다고 주장하고 싶다. 본성적으로 복음을 즉각적으로 받을 준비가 된 인간은 아무도 없다. 그렇기 때문에 청교도들은 복음 제시를 위하여 첫 번째 단계는 죄책감을 가지게 하는 것이다.죄인의 한국-서창원 | 정이철 | 2022-12-09 23:25 생명나무를 천도복숭아로 이해하면 비성경적인 신앙에 사로잡히게 됩니다 생명나무를 천도복숭아로 이해하면 비성경적인 신앙에 사로잡히게 됩니다 질문>정이철 목사님! 웨신서에 나오는 ‘행위언약’을 믿고 주장하는 어떤 분이 창세기에 생명나무가 존재한 이유가 아담의 생명이 영구한 생명을 가지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주장하네요. 생명나무를 먹을 자격을 얻은 후 그 나무를 삶아서 또는 씹어서 먹음으로 생명과 영생을 얻을 수 있었다고 하네요. 그렇다면 다음과 같은 의문이 생깁니다.1) 선악과를 먹지 않았는데, 아담이 죽는 존재라면, 죽음은 죄의 결과(삯)라는 성경과 충돌합니다. 이를 어떻게 해석할지 ...2) 에덴의 생명나무를 범죄 전(무죄)에 아담이 따먹었다면 범죄 전의 아담에게 생명 한국-서창원 | 정이철 | 2022-12-06 00:28 헌의 전쟁을 시작하기 전에 공개적으로 변론하면 모두에게 유익합니다 헌의 전쟁을 시작하기 전에 공개적으로 변론하면 모두에게 유익합니다 예장 합동에서 진리를 연구하고 논의하는 논쟁이 치열하게 일어나고 있다. 매우 고무적이고 바람직한 일이다. 성경은 다음과 같이 교회에서 논쟁이 있으므로 하나님 앞에서 옳고 그른 자들이 분리된다고 말씀했다.“너희 중에 파당이 있어야 너희 중에 옳다 인정함을 받은 자들이 나타나게 되리라” (고전 11:19).그런데 비판을 받는 분들에게서 바람직하지 않는 방법으로 논쟁을 해결하려는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는 제보가 들어오고 있다. 공개적으로 변론에 임하지 않고 대신 정치적인 방식으로 해결하려고 한다는 내용이다. 교단의 전통을 등에 업는 프레임 한국-서창원 | 정이철 | 2022-12-05 09:52 아담 수습기간(이승구,서창원), 아담 영구수습기간(웨신서)은 거짓신학 아담 수습기간(이승구,서창원), 아담 영구수습기간(웨신서)은 거짓신학 사이비 개혁주의 신학의 중심에 있는 행위언약 개념은 아담이 타락하지 않아도 오래살지 못할 사람으로 창조되었다고 가르친다. 그러나 범죄가 발생하지 않아도 인간이 오래 살지 못하고 죽어야 한다는 설정은 성경과 정상적인 기독교 신앙을 왜곡하는 심각한 내용이다. 왜냐하면 성경은 다음과 같이 인간의 사망이 범죄의 열매라고 말하기 때문이다.“죄의 삯은 사망이요 하나님의 은사는 그리스도 예수 우리 주 안에 있는 영생이니라” (롬 6:23).아담이 범죄하지 않아도 오래 살지 못하고 죽을 사람으로 창조되었다는 이론은 전체 기독교 신앙과 하나님에 대 한국-서창원 | 정이철 | 2022-12-03 14:27 웨신서의 행위언약을 신봉하면 구원의 믿음이 바르게 들어서지 못합니다 웨신서의 행위언약을 신봉하면 구원의 믿음이 바르게 들어서지 못합니다 부탁>웨신서의 행위언약을 진리로 믿으면 비성경적인 그리스도의 능동적 순종 교리 또한 진리로 믿어야 한다는 것에 대해 자세한 설명을 부탁드려요.답변>성경과 기독교 신앙에서 죄인에게 영생의 자격을 주는 ‘율법의 의’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리스도의 능동적 순종의 의의 획득이라는 것은 기독교에 없는 것입니다. 또한 죄인이 율법을 지켜서 자기의 영생을 도모하게 만드는 것이 하나님의 처음의 의도였다는 괴이한 사상도 성경에서 유래를 찾을 수 없습니다. 아담과 하나님의 행위언약이라는 것도 완전 허구입니다. 이런 이론들은 구원받고 진리의 한국-서창원 | 정이철 | 2022-12-01 09:31 처음처음1끝끝